[국어] '이해'와 '납득'이 아닌 '도식화'에 집중하자!
간단한 기출문제를 가져와 보겠습니다.
2024 수능 <경1마식 보도> 지문의 1문단입니다.
이전에 한 댓글에서 문장 단위의 해설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저는 문장 단위 해설, 특히 한 문장에 한 문단이 넘어가는 해설은 무의미할 뿐 아니라, 기출 가지고 공부 코스프레를 할 뿐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여기서는 지문 해설이 아닌 학습 방향성에 대한 칼럼인 만큼 문장 단위의 글을 써 보겠습니다.
물론 문장 단위 해설을 하더라도, 기본적인 방향은 철저하게 '도식화'에 맞춰서 진행할 것입니다.
경1마식 보도는 경1마 중계를 하듯 지지율 변화나 득표율 예측 등을 집중 보도하는 선거 방송의 한 방식이다.
: 정의가 제시됩니다. 정의는 필요충분조건이므로 경1마식 보도에 동그라미 치고, ⇔정도의 기호를 써 주면 좋습니다.
경1마식 보도는 선거일이 가까워질수록 증가한다.
: 양의 상관관계가 나왔습니다. 저는 양의 상관관계와 인과 관계를 빨간색 화살표로 도식화합니다. 이 때 끝이 뾰족한 화살표(->)는 촉진, 끝이 뭉툭한 화살표(--|)는 억제 또는 음의 상관관계입니다. 즉, 우리는 이 문장을 읽고 다음과 같이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이런 식의 표상을 'k-graph'라고 부릅니다. 23학년도 9평에 출제된 <검색 엔진> 지문에 등장하는 그 그래프입니다. 보통 노드와 간선으로 구성되었다고 부릅니다. 여기서 k-그래프가 나타내는 것은 양의 상관관계입니다. 물론 이 방법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ㄹ수록'은 비례이므로, 그래프로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x축의 방향에 주의합시다. 그래프는 축, 단위, 스케일이 핵심입니다.
그래프를 그리는 풀이는 중요합니다. 22학년도 6평 <PCR>지문이나 23학년도 수능 <기초대사량> 지문에서 그래프를 이용한 풀이를 요구했습니다.
새롭고 재미있는 정보를 원하는 시청자들의 요구에 부응하고, 방송사로서도 매일 새로운 뉴스를 제공하는 방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수단-목적 관계입니다. 수단 목적 관계는 인과 관계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여기서 k-그래프의 장점이 나타납니다. 정보간의 관계를 표상할 뿐 아니라, 도식을 확장하기 용이합니다.
이전에 그린 도식을 확장한 모습입니다.
경1마식 보도는 선거와 정치에 무관심한 유권자들의 선거 참여, 정치 참여를 독려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흥미를 돋우는 데 치중하는 경1마식 보도는 선거의 주요 의제를 도외시하고 경쟁 결과에 초점을 맞춰 선거의 공정성을 저해할 수 있다.
: 장단점이 나옵니다. 이 역시 인과 관계로 표상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일부러 장점과 단점을 나누어 도식화 해 봤습니다. 장점과 단점은 구분해야 합니다.
제가 방금 보여드린 방식이 제대로 독해를 하는 모습이라고 자신있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바로 4번 문제를 앞서 도식에 맞춰 풀어보겠습니다.
① 선거 기간의 후반기에 비해 전반기에 더 높다. (X)
: 비례가 틀렸습니다. 선거 기간의 후반기는 선거일까지 가까워진 상황입니다.
② 시청자와 방송사의 상반된 이해관계가 반영된다. (X)
: 시청자와 방송사 모두 경1마식 보도를 원합니다. 따라서 이는 상반된 것이 아닙니다.
③ 당선자 예측과 관련된 정보의 전파에 초점을 맞추지 않는다. (X)
: 경1마식 보도의 정의에 어긋납니다.
④ 선거의 핵심 의제에 관한 후보자의 입장을 다룬 보도를 중시한다. (X)
: 경1마식 보도의 단점으로 제시된 '주요 의제의 도외시'에 어긋납니다.
⑤ 정치에 관심이 없던 유권자들이 선거에 관심을 갖도록 복돋운다. (O)
: 경1마식 보도의 장점입니다.
따라서 이 문항의 정답은 ⑤입니다.
이처럼 수능 국어 문제를 풀 때는, 지문 이상의 지식이나 이해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글을 읽으며 '왜 그럴까'와 같은 생각이나, 지문에 아직 나오지도 않은 내용을 미리 고민한다거나, 지문을 예측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뿐더러,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완전한 이해'는 허상이다! 라고 주장하고 싶습니다. 이는 LEET 출제위원이 직접 밝힌 사항입니다.
http://www.lec.co.kr/news/articleView.html?idxno=743113
즉, 우리가 집중해야 하는 것은 정보 처리입니다. 그런데 앞서 보여드린 바와 같이 정보의 구조는 선형적이지 않습니다. 조금 더 복잡한 지문은 다양한 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습니다. 이처럼 선형적이지 않은 정보를 선형적인 글로 처리하려면 한계가 있습니다. 더군다나 인간의 단기기억 자릿수는 5개~9개 정도라고 알려져 있는 데다가, 인간은 시각적 정보를 처리하는데에 익숙합니다. 이 때문에 우리는 의미 덩이를 지어가며(청킹), 시각화된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좋은 전략이 된다는 사실을 기억하면 좋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ㅈㄱㄴ
-
12년생. 나보다 훨 잘함
-
진짜임뇨
-
과외 가능실력 5
미적 99 아주공대 과외 ㄱㄴ한가요
-
나 경상대인데 내가 젤 대학 낮은듯 ㅠㅠ
-
발이 300임 2
진짜임
-
생기면 어케될까요
-
이 되고싶네
-
반수 못하고 등록금 저렴하고 인기과 to 많다는 가정하에 참고로 백령도 위치
-
평가원 #~#
-
키가 340임 6
어캄
-
냄새 다퍼지네 쩝
-
계속 사랑받는지 확인받으려고 하고 집착하고 버림받을까봐 불안해하고 우울증 동반되고...
-
노래 잘하는 사람보면 그렇게 멋있을수가 없음ㅋㅋㅋ +목소리 좋은사람
-
얼굴 하얘지는 거 여드름 흉터 제거 이런 것도 막 되나요
-
자퇴현역 근황1 5
강기분 언매 공부중
-
사람 아니야ㅠ 밖에 생각이 안남
-
그때면 정리됐겠지
-
이번에는 문과/이과 비슷한 평백으로 한의대 컷이 형성된 것 같은데 이번에 사탐런이...
-
다군 15명 모집 예비 15번 가능할까요 ㅠ
-
의공학 또는 인공지능 진학에는 생명 보던 지구가 나을까요?
-
환불하고 추합 학교 등록하는 거죠?
-
에혀 2
잠이나잔다
-
헌혈을 아무리 해도 20
바늘 꼽는 그 순간은 무섭네요
-
뭔진 모르겠지만 0
눈팅만 해야할것같네요..중립기어
-
제 디시콘 ㅇㅈ 2
-
틈새 ㅇㅈ 6
-
숭실 vs 아주 5
현재 청주 거주중입니다
-
고수들 다 성불하거나 사탐런 해서 이제 작년정도 난이도에 컷은 낮아질듯 아싸
-
(서울대 합격 / 합격자인증)(스누라이프) 서울대 25학번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안녕하세요. 서울대 커뮤니티 SNULife 오픈챗 준비팀입니다. 서울대 25학번...
-
음음 역시유용하군
-
수능악귀 결과 4
반수생 ㅁㅌㅊ?
-
지금까지는 줄곧 화작 문학 독서 순으로 했는데 화작에서 언매로 바꿨고 독서를...
-
뭔진 몰라도 상황이..
-
이게 대체 뭐임 2
오르비 무섭노
-
ㄹㅇ
-
무슨일이고 0
???
-
오늘의 수학꿀팁 5
미적분에서 합성함수 문제가 뜨면 그걸 미분 하지말고(본질에서 멀어지는 행위)...
-
독해 실패했음 1
작년 강기분 꺼내서 복습해야겠다
-
빨간맛 나올때 4
초3이었음 정글의법칙에서 빨간맛 부른 멤버 나온 편이 있엇던 기억이...
-
모르겠고 20
애인이랑 저런 갈등도 생길 일조차 없는 내가 패배자다
-
그냥 포기
-
타학교 갈수도 있어서...
-
좀 게임이론식으로 다가가볼게 둘 다 최선의 선택을 한다 가정해보자. 그럼 무승부...
-
모든 일이 다 밝혀지고 뭐라해도 늦지 않습니다 여러분의 일이 아니기에 더더욱 중립
경1마 계속나오는거 ㅈㄴ웃기네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_animated/004.gif)
금칙어![](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_animated/020.gif)
경1마식 보도 맛있네요이거 보기 해설 가능?
나중에 지문분석 해봄요
![](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_animated/034.gif)
이해와 납득이 중요한 시대는 끝난건가요애초에 정보처리가 이해라고 말하고 싶어요
그 이상은 이해나 납득이 아니라 상상
쟁점잡고 선지플레이가 답이군여
중요한 뼈대를 잡고
이해는 문제에서 필요한 만큼 살을 붙여가며 통통하게 만들기
하나 질문있음
문장 단위에서 ~수록이나 목적과 수단 다 원준센세가 가르쳐 주시나요
저거 혼자서 리트풀면서 체득했던건데
넹 다 언급하심
근데 그런내용을 다 정리해서 이걸외우자! 이런건 아니고
수업하면서 계속 툭툭 던지심
툭툭 주시는군요
전 저걸 정리해서 문장 ox로 제시하려했는디
요즘은 아예 정리해서 미니북 형태로 만들어서 수업하세요
저번에 사실과 추론 태도나눈것도 교육과정 뜯으면서 나만의 거인줄알았는데 정석민t가 그러고 있어서 머리아파짐
요즘은 좀 명시지화 더 하시더라구요 저 배울때보다
도박
술
담배
섹스
안녕하세요. 글 정말 잘봤습니다.
그러나 칼럼을 보다가 제가 생각하는 것과 비슷한 것과 살짝 헷갈릴만 한게 있어서
실례가 안된다면 질문이 가능할까요?
1. 도식화를 하되 머리로만 그리지 말고 지문 근처에 필기해야하나?
2. 칼럼 중 'k-graph '를 소개하셨는데 이 부분도 도식화 할 때
더 받아들이기 쉽게 옆에 참고용으로 그려야하나?
가 의문이 들었습니다. 질문에 대한 의견을 써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1과 2모두에 대해 답변드립니다.
필기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필기할 ‘수 있‘습니다.
머리로 처리하기 어려운 복잡한 정보는 메모하는 것이 좋은 전략입니다.
연습할 때는 실전처럼 하더라도, 연습이 끝난 후 글 전체를 도식화 해서 직접 구조도를 그려 보세요. 이 과정을 통해 기본도식을 내면화하면 머리로 처리 가능한 정보도 늘어납니다.
감사합니다.
선지에 있는 쉬운 정보는 머리로 정보를 처리하되 복잡한 정보는 일부 도식화를 사용하여
머리에 이미지화 시키면 처리 할 때 유용하겠네요.
덕분에 도움되었습니다. (_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