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과 윤리] 별다른 수식어 없이 ‘동물’이라는 표현이 단독으로 나올 경우,
싱어에게는 쾌고 감수 능력을 지닌 동물로, 레건에게는 삶의 주체인 동물로 해석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발원지가 어디인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2014학년도 예비평가~2024학년도 9월 모의평가까지 모든 평가원 기출문제들을 다 살펴보아도,
그렇게 해석해야 맞힐 수 있는 문제는 단 한번도 출제되지 않았습니다. (있다면 제시해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그러나, 모든 기출문제가 그렇게 해석한다면 맞힐 수 있는 문제이기는 했습니다.
(이 둘의 구분이 매우 중요합니다. 보통 그렇게 해석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시는 분들은 평가원에서 그렇게 해석한다면 맞힐 수 있는 문제가 평가원에서 출제된 것을 근거로 내세우시는데, 그건 잘못된 겁니다. 그렇게 ‘해석한다면‘ 맞힐 수 있는 기출문제의 존재로는 그렇게 ‘해석해야‘ 한다는 주장이 입증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수험생에게 가르치는 입장에서 저렇게 가르치는 게 그렇게 큰 문제는 아닐 것 같습니다. 가르치기 편한 방법일뿐더러, 위험성도 높지 않으니까요.
또한, 사설 업체의 생윤 문항 출제자가 문항을 그렇게 해석한다면 맞힐 수 있도록 출제하는 것은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만일 사설 업체의 생윤 문항 출제자가 문항을 그렇게 해석해야 맞힐 수 있도록 출제한다면, 그것은 평가원의 출제 원칙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며, 잘못이라고 생각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근데 현돌님도 그렇게 말씀하시긴 했네요
저는 이렇게 가르치는 것 자체는 효용이 크다고 생각하긴 합니다. 그냥 실전적인 거죠.
현돌님 강의도 하시나요? 어디서 하시는지 여쭤볼 수 있을까여ㅡ
이거 진짜 이상한 강의 해설로 인해 선입견에 빠지면서 많이 고민했던건데..결과론적으로 그냥 포괄적인“동물”워딩이어도 어떤 동물인지에 의미부여할 필요는 없다는 뜻이겠지요?
네, 그렇습니다. 근데 사실 그냥 ‘각 사상가가 도덕적 지위를 인정하는 동물’로 보셔도 큰 무리는 없습니다. 또, 실제로 평가원 외에 교육청, EBS는 그렇게 해석해야 맞힐 수 있는 문제를 출제하고 있긴 합니다.
레건한테 동물이라고 하면 오징어 낙지같은걸 생각을 할 필요가 없다는 말씀이신가요
지금까지는 그래도 돼 왔습니다.
혹시 쪽지확인가능할까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