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 학습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저번 글로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시고 제 동기분들도 제가 글 올리자마자 카톡으로 "너 혹시 저렙노프사야?" 라고 특정해주셔서 글을 하나 더 적어볼까 합니다.
우선 말씀드리자면 이 글은 제가 영어 공부에 대해 계속해서 고민하다가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매우 유익한 영상을 우연히 발견해서 이를 공유하고자 쓰는 것입니다. 따라서 당장 수능 영어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우선 저는 수능이 끝난 뒤로 영어를 그냥 잘하고 싶었고 딱히 시험 준비같은 목적 없이 영어를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개강 전에는 집에서 TED같은 영어 컨텐츠 영상을 주로 종종 찾아봤고 개강을 한 뒤에는 매일 통학하면서 지하철에서 4시간씩 단어장을 외웠습니다.
??: 현 밖에서 통학하는데 편도 2시간 거리예요.
그런데 그렇게 몇 달 정도 공부를 했는데도 아무런 진전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방법에 어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고 외국어 학습 방법에 대한 정보를 찾다가 이런 영상을 발견했었습니다.
이 영상은 언어 습득에 관한 스티븐 크라센 교수의 강연인데 영상을 보면서 글을 읽을 수는 없으니 영상 내용을 설명하면서 진행하겠습니다.
우선 이 영상에서 크라센 교수는 처음부터 폭탄 발언을 던지고 시작합니다. 바로 "인간은 언어를 유일하게 단 하나의 방법으로만 습득한다. 이는 인간이 소화를 모두 같은 메커니즘으로 수행하고, 뇌에서 시각 정보를 모두 같은 메커니즘으로 처리하는 것과 같다" 라는 것이었죠.
이 말은 즉 한국인이 모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것이든 외국어로 영어를 배우는 것이든, 아니면 반대로 미국인이 모국어로 영어를 배우는 것이든 외국어로 한국어를 배우는 것이든 모두 그 원리는 같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인간이 언어를 습득하는 그 하나의 원리는 무엇이냐 했을 때, 크라센 교수는 '이해가능한 입력'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이해가능한 입력이 무엇인지 설명하기 위해 두 가지 예시를 듭니다.
첫 번째 예시는 그냥 독일어로 말을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독일어를 전혀 모른다는 가정 하에 방금 한 말을 아무리 반복하든, 느리게 말하든, 받아쓰게 하든, 암기를 시키든 여러분은 절대 독일어를 습득하지 못할 것이라고 합니다.
두 번째 예시는 똑같이 독일어로 말하는 것이었지만 동작이 추가된 것이었습니다. 예를 들면,
Das ist meine hand.
Das ist mein kopf.
이런 방식이었습니다. 아마 여러분도 이 예시에서 저 독일어 문장을 대강은 이해하셨을 것입니다. 크라센 교수는 이처럼 번역에 의존하지 않고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언어 표현을 '이해가능한 입력'이라고 한 것입니다. 그리고 이 이해가능한 입력만이 인간으로 하여금 언어를 습득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었죠.
저는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왜 언어는 입력만으로 습득될 수 있는 것일까요. 저는 예전부터 메디소드(https://orbi.kr/profile/1220944)라는 분의 칼럼을 읽어왔고, 그 분의 주장대로 모든 지식, 기술의 습득은 논리적인 아웃풋을 계속해서 능동적으로 도출해내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 생각했습니다.
반면 크라센 교수의 주장은 지극히 수동적인 방법만이 유일한 방법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두 주장 모두 합리적이라고 생각했기에 메디소드님께 개인적으로 질문해보았습니다.
(혹시 작아서 안보일까봐 따로 적겠습니다.)
나: 안녕하세요 제가 선생님 칼럼을 몇 달 전부터 계속 읽어왔는데 질문드리고 싶은 것이 있어서 쪽지 남깁니다. 선생님의 칼럼은 전반적으로 능동성을 매우 강조하는 것 같았습니다. 저는 이를 단순히 내용을 반복적으로 입력하는 방법보단 그 내용을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하는 훈련을 통해 지식형 시험에서는 내용의 암기를, 사고형 시험에서는 가장 근본적인 사고력, 응용력을 기르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함이라고 이해했습니다. 이를 저의 경우에 대입해 생각해보니 확실히 내신, 수능을 불문하고 전자의 방법보단 후자의 방법이 더 옳은 방법인 것 같았습니다. 그리고 그 이론에 따라 선생님의 칼럼을 읽기 전부터 해오던 외국어 공부에도 이를 그대로 적용하려 했었습니다. 최종적인 목표는 원어민과 같은 외국어 실력을 갖는 것이고 그를 위해서는 그 언어로 출력을 하는 훈련을 계속해서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예를 들면 단어를 외울 때에도 한국어를 먼저 보고 그에 대응하는 외국어 뜻을 떠올리거나, 일상 속에서 외국어로 말하고 생각하려고 많이 노력했습니다. 그러나 제 예상과는 달리 몇 달간의 공부에도 불구하고 외국어 실력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던 중 https://www.youtube.com/watch?v=fnUc_W3xE1w 이 영상을 보았습니다. 이 영상에서는 우리가 모국어를 습득하는 과정이든 외국어를 습득하는 과정이든 다르지 않고 인간은 단 한 가지 방식으로만 언어를 습득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그 단 한 가지의 방법은 이해가능한 입력이라고 했습니다. 부모가 아기에게 언어를 가르칠 때 사탕을 들고 '사탕'이라고 말하는 것이 이해가능한 입력의 한 예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출력을 위주로 한 훈련은 언어 습득에 별 도움이 되지 않고 이해가능한 입력만을 계속 축적하면 그 언어로 말하는 능력까지 자연스레 습득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저는 선생님의 칼럼의 이론에도 동의하고 위 영상의 이론에도 동의합니다. 그렇다면 왜 대부분의 학습 과정에서는 선생님의 이론이 맞는 것 같은데, 언어라는 부분에서만 정반대의 이론이 맞는 것 같은지 의문이 듭니다.
나: 요약하자면 선생님의 학습에 관한 이론(출력이 입력보다 중요)에 동의하지만 어째서 언어라는 부분에 대해서만 정반대의 이론(입력이 출력보다 중요)이 더 설득력이 있는지 의문이 듭니다.
메디소드님: 우선 시간 관계상 영상의 앞 부분만을 보고 쓰고 있다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저의 주장과 저 사람의 주장을 정리하면 세 가지 공부법이 있을 수 있겠군요. 1)이해 불가능한 입력 2)이해 가능한 입력 3)스스로 출력 저 사람의 주장은 1)과 2)를 비교하고 있는 듯합니다. 독일어를 반복해서 듣거나 써봐도 효과가 없는 것은 애초에 이해를 못한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제가 주장하는 것은 2)와 3)의 비교입니다. 저는 어떤 영어문장을 읽어서 1번 이해한 경험과 실제로 1번 사용해본 경험을 비교하면 후자가 더 학습 효과가 높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해한 뒤에 사용해야겠죠.) 저분 말하는 'comprehensible input'은 'input'보다는 'comprehensible'에 초점이 맞춰진 거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나: 그렇다면 영상 속에서 대부분의 경우 스스로 말하기를 연습하는 출력이 큰 의미가 없다고 설명했는데 이는 대부분의 출력이 이해하지 못한 내용을 단지 번역에 기대기 때문인 것이고, 많은 입력을 통해 그 언어에 충분히 익숙해졌다면 그 언어에 감정을 담아서 번역에 의존하지 않고 실사용을 하는 것 역시 충분한 효과가 있다고 이해하면 되는 것일까요?
나: 결론적으로 input의 형태로든 output의 형태로든 comprehensible이라는 특징이 가장 핵심적인 것이고, 즉 언어가 단순히 번역에 의한 껍데기로 쓰이느냐 아니면 언어에 영혼이 담기느냐가 언어를 습득시키고 실력을 향상시키는 여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일까요?
메디소드님: 넵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이를 통해 저는 내용을 언어로 받아들일 때든 생성할 때든 그것이 '이해가능한 상태인 것'이 가장 핵심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렇다면 왜 그 외의 방법은 효과가 없는 것일까요. 왜냐하면 내용이 이해가능하지 않을 경우 그 내용은 문법에 근거해서 번역에 의존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한국의 교육은 전형적인 문법 번역식 교수법을 채택하고 있고 그래서 저를 포함한 수많은 사람들이 10년 넘게 영어를 공부했지만 영어를 원어민처럼 하지 못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또한 이는 제가 수능이 끝난 뒤로 했던 공부들이 무의미했던 이유도 보여주죠. 쉽게 말해서 우리는 그동안 우리가 이해하지도 못하는 언어를 번역에 의존해서 삽질을 했다는 것입니다.
이는 막상 생각해보면 당연해 보이기도 합니다. 저희가 모국어인 한국어를 배울 때 번역에 기대어 다른 언어를 통해 배웠나요? 애초에 아는 언어가 없으니 불가능합니다. 그럼에도 저희는 한국어를 구체적인 내용이든 추상적인 내용이든 상관없이 충분히 유창하게 구사합니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종합해보자면 이해가능한 내용을 입력의 형태로든 출력의 형태로든 많이 다루는 것이 언어를 습득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자 동시에 유일한 방법인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저는 우선 처음부터 생소한 언어를 출력의 형태로 다루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초심자의 단계에서는 위의 크라센 교수의 두 번째 예시와 같이 그 언어를 전혀 모르더라도 이해할 수 있는 입력을 많이 받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예시로는 TED-Ed(https://www.youtube.com/@TEDEd), English Comprehensible Input for ESL Beginners(https://www.youtube.com/@ComprehensibleEnglish) 등과 같이 충분한 시각 자료가 주어지는 컨텐츠가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수준이 점차 올라서 영어로 된 내용을 듣거나 읽을 때 한국어의 개입이 없어진 것 같다면, 이야기를 듣거나 읽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크라센 교수는 이를 TPRS(Teaching Proficiency through Reading and Storytelling)라는 개념으로 설명했는데 이야기에는 맥락이 있으므로 그 자체로 나름 이해가능하다는 성질을 갖고, 감정이 담기기 때문에 추상적인 내용도 쉽게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영어 실력이 꽤 높은 수준까지 도달했다면 좀 더 전문적이고 학술적인 내용을 접하거나, 아니면 메디소드님의 방법대로 영어로 생각을 하거나 말하는 것을 시도해본다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또한 핵심적으로 모국어에 기대면 외국어 습득의 효율이 떨어지므로 가급적이면 한국어 자막을 사용하거나 번역기를 자주 사용하는 등의 행위는 삼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제가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분들에게 조언을 해주는 것이라기보단, 제가 본 영상을 여러분과 공유하고 저의 미래 계획을 짜는 느낌으로 적은 것입니다. 혹시 여러분들도 공유할 만한 의견이나 유용한 영어 컨텐츠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댓글에다가 "세줄요약좀." 이라고 적으실 분 있을 거 뻔해서 한국인이 좋아하는 속도로 세줄요약 미리 해드렸습니다.
1. 인간이 언어를 습득하는 방법은 유일하다.
2. 그 유일한 방법은 본문에 나와있다.
3. 본문을 읽으면 "이해가능할" 것이다.
참고한 내용들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iTsduRreug
https://www.youtube.com/watch?v=J_EQDtpYSNM
0 XDK (+10)
-
10
-
관세폭탄 좀 그만 때려 이 미친새끼야
-
공대로 따지면 어느정도예요 ??? 밑학교 높공? 낮공??
-
성균관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성대25][율전 학생들을 위한 1학년 교양과목 추천]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성균관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성균관대학생,...
-
제가 얼마전에 큰 수술을 해서 새터에 참여하지 않는게 좋을 거 같은데 글들을 보니까...
-
집가고싶다 3
ㅆㅂ 학교언제끝남
-
나도고속쓰고싶다 2
워드가업서 난거지야
-
내가 가야함
-
A4 정도로 보면 엄청 잘 들어오는데 시험지처럼 크기가 커지면 눈에 안들어오는데 뭐가 문제임?
-
코인 뭐고 씨발 5
좆됐네
-
수상할 정도로 음음
-
실시간 2
학교에서 오르비 맞팔구함
-
차라리 정시 논술을 부활시키는 것도 방법이었을텐데, 왜 하필 내신인지, 학교가...
-
아무런소식이 없네 ㅠ
-
얼버잠 성과 13
12시 취침은 실패햇지만 1시 좀넘어서 잠 최근에 계속 비실대다가 이제야 좀 살겠네요
-
한지 세지 0
안녕하세요 생지 하다가 생명애 벽을 느껴 사탐런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사탐 노베인데...
-
사탐런 3
과탐 사탐 다 노베이고 중경외시 이상 수학과 쓸려는데 2사탐이 맞을까요? 일단...
-
한의대 제하고 의치약수 목표면 원과목이 정배 아닌가요? 잘 모르겠습니다
-
없다
-
그냥 다 맞으면 되잖아 마인드 장착이기때문에 설득 불가다 더이상물러날곳이없거든생명만몇년을했는데
-
전담으로 갈아탐 3
연초보단 낫잖아 하 본과 전에 끊는다
-
제가 12월 달부터해서 1월 초까지 게으르게 살다가 정신 차리고 공부 시작했는데...
-
기출무용론떡밥 국어수능의리트화떡밥 재능노력떡밥 의vs한대전 왜 요즘 이런거 안돎...
-
오르비 화이팅 1
-
얼버기 0
비트 이 새끼는 걍 지 좃대로 움직이네 하........
-
너무 배고팟음
-
간쓸개 시즌 1 1
시즌 1 풀만한가요? 강기분 러셀에서 들으면서 사놓은거 풀어봤는데 좀 별로기도 하고...
-
좆됏다!!
-
이대로면 생지도 10만뚫릴거임 이제 생지도 원장연 맞으니까 사탐하던지 아니면 투...
-
얼버기 0
와서 1시간 잤네
-
수학 인강 강사 중에 풀이랑 발상 많이 던져주는 강사 추천 좀요 약간 정병훈쌤처럼요
-
인강민철은 2권 시작하면서부터 거의 다 맞고 읽는 방법도 뭔가 강기분에서 배운대로...
-
여전히 10만명은 넘어갈려나요
-
서강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서강대 25][자취방꿀팁]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서강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서강대생, 서대...
-
말그대로 생감 책 안올라왔나요?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
제이팝 추천 좀 6
ㅇㅇ
-
반수 실패하면 4
군수 조지고 얘도 실패하면 3년 울면서 보내면 됨? 지금 과목 몇 개 안 들으려니까 미래가 두려운데
-
내신은 빼박 cc고요 언매 기하 사문 생윤 응시합니다! 각 과목별로 몇 개 틀려야...
-
안간 학교도 뱃지 받을수 있다며 현역때 논술 3개붙었는데
-
기차지나간당 3
부지런행
-
현역때 임정환 들었음 머가 젤 나음?? 1. 학원 2. 사설 자료 뺑뺑이 3. 개념...
-
면허학원가는중 1
ㅜㅜㅜ
-
망한 월요일 1
8시까지 학원에 도착해야해서 35분쯤에는 그래도 집에서 나와야하는데 7시 15분쯤에...
-
진지하게 롯데리아 맛으로 못깐다는 말이 있는데 트루팩트임? 썸타던 여자애 면전에서...
-
훈수좀요 1
고민중인데요 작년에 개때잡했었는데 이번에 공통수학은 시발점 강의 대신작년개때잡...
-
적어도 몇분 안엔 끝낸다 이런거
-
ㅎㅇㅌ!
청라 사시는구나 ㄷㄷ
본문을 보다 세 줄 요약을 찾으러가다 본문을 보면 이해된다고 해서 다시 본문을 보다 다시 세 줄 요약을 찾으러가는.. 일일 시시포스 체험을 했네요
(사실 다 읽었습니다)
포위 독해법 ㄷㄷ
Das ist mein kampf
어어 하지마ㅏㄹ..
https://youtu.be/k7zZPx60Gms
세 줄 요약 보고 본문 해석했습니다 죄송합니다
존나 살발하다 진짜..
결론: 많이 접하는게 좋은데 빈 껍데기로 받아들이기보다 이해가능한 형식으로 받아들이는게 좋다... 맞나?
그러니까 배우고자 하는 언어를 모국어에 기대지 않아도 의미가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접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스크랩해서 보겠습니다 정성글 26기원
그런데 '이해가능한 입력' 에서 저 이해를 위한 단서? 는 꼭 시각적 행위여야하나요? 번역본과 원어를 대조하며 읽거나, 자막을 띄워주는것도 이해를 위한 단서를 주는거 아닌가 생각이 들었어요
영상에서는 맥락, 배경지식 등 무엇이든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것이면 된다고 했는데, 제가 생각했을 때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건 조금 예외적인 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자막, 번역본 등으로 원어 입력과 모국어 입력이 동시에 들어오면 모국어 입력을 통해 원어를 이해하기보단 모국어 입력만 받아들이고 이해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외국 영화, 드라마, 애니를 자막을 켜고 보더라도 외국어 실력이 그닥 향상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세줄요약 ㅆㅋㅋㅋ
저도 결국은 많이 입출력해본 거였네요..
가끔 혼잣말이나 생각할 때도 써 봤던..
유학파 영어황님 컨텐츠 추천좀요
요즘 실효성있는 글못봤는데 잘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https://youtu.be/k93a6QUhqbM
영상 주 내용은 결국 문장에서 핵심만 뽑아서 간단하게 치환한다는 것 같은데, 수능 영어는 문장이 길고 추상적이라 굉장히 효과적이고 저도 그렇게 했지만, 실제로 문학을 읽거나 농담을 할 때도 핵심 정보만으로 치환하는 식으로 언어를 사용하지는 않으니 현실에서의 언어 사용에서는 조금 부적절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좋은글이네요. 잘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맨날 일본 뉴스/노래/애니/드라마 보고, 따라 읽어보고, 혼잣말로 중얼중얼거리다 보면 되더라
아무래도 일본어는 언어학적으로 한국어와 가깝기도 하고 그래서 일본어 컨텐츠를 접할 때 상대적으로 자막에 시선이 덜 가게 하면, 보다 쉽게 습득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세줄요약 보고 비추를 벅벅
이거 보니
내 판단은
틀리지 않았다.
모국어에 기댄다기보단 언어 자체에 대한 개인의 어설픈 감각이 자연스러운 인풋을 방해하는 것 같아요
그럴 수도 있을 것 같네요. 아무래도 문법으로 서툴게 번역해서 만들어낸 언어랑 원어민이 실제로 사용하는 언어는 괴리가 있을 테니까요.
본문 내용대로라면 공통문법에 대한 논리나 감각을 키우는 훈련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이를테면 통사론에 대한 서적을 읽어본다든지..
그런데 저는 영상에서처럼 모국어와 외국어의 습득 기제가 같다면 통사론에 대한 지식, 감각은 자연스럽게 얻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고, 의식적인 훈련이나 학습은 의미가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외궈는 그냥 진짜 여친 사귀어야 됨..
직빵임 레알루
불어 배울 때 진짜 개빨리 늘었음
맨날 책으로만 영어 배울 때랑 비교해보면 걍 완전 다름.
아무래도 서로 모르는 언어로 소통을 하려면 자연스럽게 온갖 요소를 총동원해서 상대를 이해시키려고 할테니까 그것도 상당히 유용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Das ist mein kopf.
Das ist mein kopf.
확실히 영어랑 비슷한게 많이 있네요 제가 독일어는 못하지만 근대영어에서 is 대신 ist라고 한다던가 Das가 this랑 유사하다는것 mein이 영어의 mine과 같다는 점 흥미롭네요
재밌는건 위에 두문장이 프랑스어로는 C'est mon main(이것은 나의 손이다) C'est mon tête(이것은 나의 머리이다)인데 기초어휘같은건 영어랑은 완전히 다른 걸 볼 수 있습니다.
영어랑 독일어가 겹치는 단어들 리스트인데 영어에서 기초어휘로 쓰이는 단어들이 많이 보이는 걸 알 수 있습니다.
Father = Vater 파터
Mother = Mutter 뮈터
Brother = Brueder 브뤼더
Sister = Schwester 슈베스터
Daughter = Tochter 토흐터
Son = Sohn 조-온
Finger = Finger 핑어
Hand = Hand 한트
Knee = Knie 크니
Arm = Arm 아름
Shoulder = Schulter 슐터
Nose = Nase 나제
Hair = Haar 하-아
Eyes = Augen 아우겐
Drink = Trinken 트링켄
Bring = Bringen 브링엔
Come = Kommen 코멘
Eat = Essen 에센
See = Sehen 제-엔
Have = Haben 하벤
In = In 인
Out = Aus 아우스
Brown = Braun 브라운
Green = Gruen 그륀
White = Weiss 바이스
Blue = Blau 블라우
All = Alle 알레
Good = Gut 구트
Morning = Morgen 모르겐
Night = Nacht 나흐트
프랑스어에선 뒤에 ment나 able tion sion이 붙는 단어들 conversation(꽁베흐스타시옹)
formidable(포흐미다블르) moment(모멍) unique(유니크) musique(뮤식크) bœuf(뵈f)
이런 고급어휘나 어려운 단어들이 많이 보이는 걸 보면 영어를 잘 배우면 프랑스어 독일어도 잘할 수 있어서
확실히 영어권의 강점이 더 돋보입니다
저도 아직은 영어를 배우는 단계에 있는데, 영어를 충분히 배우면 한 번 다른 유럽 언어들 도 배워보고 싶네요.
제가 프랑스어를 조금 할 줄 아는데 제생각엔 수능영어 1등급 기준으로 1년정도 프랑스어 배운다면 중급프랑스어까진 금방 배울 거라고 생각합니다 델프 베1까진 금방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리고 또 독일어는 명사의 성수가 여성 남성 중성이 있는 반면에 프랑스어는 여성 남성만 있고 의외로 규칙성도 보입니다. 기본적으로 부엌에서 일을 여자들이 많이 해서 La table(라 따블르) 라고 여성명사가 되고
컴퓨터는 남자가 더 많이 써서 Le Ordinateur(르 오디나뛔흐) 이런식으로 보통 직업에는 남성 관사가 많이붙습니다 무조건 단정 지을 순 없으나 예외만 외우면 돼서
수능 끝나고 에스토니아어 공부할 때를 대비해서 스크랩해두겠습니다
사용자가 많은 언어, 특히 영어권 학습 수요가 많은 언어 같은 경우에는 그냥 유튜브에 spanish comprehensible input 이런 식으로만 검색해 봐도 뭐 많이 나오는데 마이너 언어는 학습 소스를 찾기가 쉽지 않을 것 같네요
사실 뭐 마이너 언어 파는 사람들은 그런거 감안해서 하니까요.. 전에 튀르키예어 파는데 튀르키예어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페르시아어 파는 사람도 본 적 있음
재밌게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수능 끝나고 영어 공부할 때 두고두고 읽어볼게요 지우지 말아주세요 !!
네 알겠습니다.
열이 나서 뭔소린지 잘 모르겠으나 일단 숭배부터 하고 갑니다
자힐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