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순서 안 틀려버리는 루틴.f eat 수능 37번
여러분은 순서를 풀 때 본인만의 풀이 도구들을 가지고 계신가요?
단순히 대략적인 풀이방법들로 풀고 있지는 않으신가요?
영어는 언어이기 때문에 수학처럼 딱! 떨어지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풀이 도구들을 가지고 문제풀이 루틴을 형성한다면 훨씬 안정감있게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풀이 도구들을 '인지'한 상태에서 '의식'하여 푸는 것(루틴의 틀 안에서 푸는 것)과
대략적인 풀이방법으로 푸는 것은 차원이 다릅니다.
이러한 '의식'하는 태도가 고득점 안정화의 지름길이 될 겁니다.
순서 문제는
몇 가지 풀이도구들이 있지만,
0순위는 이것입니다.
보기 - 보기의 상술 부연 예시 - ( ) - 마지막스러운 느낌
너무 당연한 글의 기본 구조입니다.
수능지문은 발췌-윤색과정을 거칩니다.
따라서 지문은 글의 기본 구조인 위의 틀에 맞춰지게됩니다.
우리는 이 틀 속에 A-B-C라는 퍼즐을 대응해서 끼워넣는 겁니다.
자 한 번 봅시다.(사진을 꼭 봐주세요)
2019 수능 37번. 오답률 71.9%. 오답률 순위 4위에요.
이건 틀리면 안 돼요....
(3등급 이상이신데 틀렸다면 정말 반성하시구요. 4등급도 맞출 수 있다고 생각....)
이게 오답률이 높다는 건 상위권에 준하는 학생들도 해석박치기, 지문 이해, 대략적 근거잡기로 푼다는 겁니다.
순서에서 내용을 통해 푸는 건 부차적인 도구 수준입니다.
이 지문 시험장에서 이해할 수 있을까요?
해설서보세요... 소재가 도식적 지식 ......
C가 처음에 오는 건
글 구조. 통념 반박 알면
Clearly(확실히)에 주목. 보기 해석하고 '뒤에 통념반박 나와라... 형태는 schematic knoledge의 (-)'를 기대했으면 당연해요.
(여기서 Tip! 통념-반박은 일반적으로 글의 앞 쪽에서 쓰입니다. 왜냐하면 '반박'이 글의 핵심이자 글을 풀어나가는 시작점이 되거든요. 핵심을 풀어나가는 시작점이니 앞 쪽에 있겠죠? 핵심이 뒷 쪽에 있으면 그 글은 중요하지 않은 내용이 과도하게 적힌 안 좋은 글입니다. 수능 지문 누가 윤색하죠...?)
그 다음 A의 뒤를 보면 'As a result'..... 너무 자명한데...... 글의 결론을 내려버리고 끝맺잖아요. 마지막스러운 느낌. 해석적으로도 그렇구요.
B도 대충 읽다보면 gaps가 뒤 쪽에서 탄생?하고 A 앞 쪽에서 자연스럽게 나오죠.
좀 더 잡자면 C의 typical, ordinary가 B의 normal 재진술!
결론은
순서의 틀, 글 구조(통념 반박)만으로도 풀 수 있었던....
이해해서 풀려는 생각만 안 하면 난이도 '하'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순서의 틀로 안 풀리는 문제들 있습니다.
그러나 순서풀이 도구들은 많이 있어요. 그 도구들을 꺼내쓰면 되는 겁니다.
제가 설명하지만 순서 안 틀릴 수 있을 거 같지 않나요??
이 문제 정말 실전적이고 수능영어스럽게 풀지 않았나요?
왜 이렇게 안 푸는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매번 말하지만, 70점대 중반 이상은 해석력이 부족한 게 아닙니다.
태도적 측면 개선, 문제풀이 루틴 형성하면 성적은 금방 오릅니다.
저는 나이가 좀? 있는데요. 2년 전 한의대 실패했습니다.
당시 영어 성적을 올리기 위해 대형인강사이트 모든 강사님들의 해설강의를 봤습니다.
가장 일관적인 문제풀이들을 종합해서 저만의 문제풀이 루틴을 형성하였습니다.
강사님들처럼 영어력으로 문제를 푸는 것이 아닌, 영어를 못하는 수험생의 입장에서요.
이게 제 업이 아닌 취미생활입니다만,
스스로 수능영어를 학생입장에서 가장 실전적으로 풀 수 있다고 자부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수능 40일의 전사들 모집중입니다.
1~3등급 위주입니다.
이전 글 참고해주셔요~
도움이 됐다면 좋아요와 댓글 부탁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국어 20프로 수학 40프로 영어 감점 연대식으로 10프로 반영 탐구 과탐필수...
-
민주누님 생카만 갈라했는데 레이누님 같이하네? 럭키비키네요.
-
혼자서 공부하기는 좀 그래
-
고려대학교 학부대학에서 25학번 새내기를 찾습니다!! 3
고려대학교 학부대학에서 25학번 새내기를 찾습니다!! 안녕하세요! 고려대학교...
-
여기출신 애들이 전부가 다 뛰어난 애들 같진 않던데 일부 뛰어난 사람들도 있긴...
-
콜드브루 맛있다 4
맛있어
-
미적 개념은 두바퀴정도 돌리긴했는데 아직 수1.2처럼 완벽하게 체화는 안된거같아서...
-
중학교때까지 열심히 하다가 고1,2때 공부를 놓은 건 아니었지만 공부법을 몰라서...
-
음함수 난이도 대결 14
가장 어려운 문제는 무엇인가요? 1. 200621(가) 2. 220629 3....
-
질의응답 앞사람보다 엄청 적은게 느껴지면.. 불합시그널이겠지? ㅠ 1차는.. 엄청...
-
노래를 들으며 하자니 집중이 안되는구나.....
-
수특 계획 0
레벨2>레벨3>레벨1 ,유제
-
사회과학대학 이런건 예전보다는 큰의미가 없고요 첨단바이오융합대학에서 연구하시는 이...
-
"동덕여대 지원자는 불가촉천민"…단국대 전 홍보대사 발언 논란 10
누리꾼 "홍보대사가 학교 명예 실추" 단국대 "개인 발언…학교 입장 아냐"...
-
정법 vs 생명 0
생명 작수 3등급 평소에 모고 풀거나 사설 풀면 1-2등급 나와서 생명 나름 자신...
-
.
-
칸샤노코토바시카데테코나이요 아토모도리와시나쿠테이이노 이마모토코로와 카엣~테네무루다케
-
일단 3모까지 기준으로 짰어요 화살표 왼쪽은 60~70퍼 정도 진행했습니다 1월동안...
-
그게 나야 바 둠바 두비두밥~ ^^
-
공군오지마라 10
너무길어서정신병걸리기일보직전임
-
평가원 #~#
-
의대 못가고 연대기계공 가게되어서 만족하려면 연봉3억이상 받을 정도로 크게...
-
저 이번에 확통런했는데 커리 한번만 봐주세여 ㅠ 일단 이미지쌤 세젤쉬 듣고 미친개념...
-
조발 기원
-
난도 ㅇㄸ?
-
사람이 부를 노래가 아님..
-
제곧내에요 괜찮나요..?
-
사문 이번에 첨하는데 임정환쌤 림잇 듣고 마더텅으로 기출 한번 돌리고 (도표 제외)...
-
오늘 공부 접는다 16
더 중요한 일이 있어
-
마치 '지능'과 '지식'이 다른 것 처럼, 내 실력(능력)은 이미 정해져있고, 그...
-
24수능 미적을 97맞고도 왜 25수능 미적 100을 못챙겨가는거지 ㅅㅂ 시간도 꽤...
-
인스타 팔로워 절반이 전적대(예정) 사람들인데 이거 어캄
-
손의 반댓말이 발인가?
-
진짜실화냐. 근데 저는결백합니다 ai가 이상한거에요
-
수능2등급 정석준샘은 스킬위주 수업이라던데.. 개념이 부족하진 않나요? 홍준용샘은...
-
본인 재능에 따라 다르죠 어떤 사람은 백날 공부해도 4등급인 사람도 있어서 (실제로...
-
??: 좌표공간에서 구의 방정식이 다음과 같을때, 구에 속하는 격자점의 개수를 구하시오.
-
근데 같이 반수한 애들 중에 나만 떠나게 생겼다...
-
따흐흑
-
4시간만 잘게요 2
오르비언들도 굿나잇
-
진짜 일좀해 시발놈들아
-
해설강의보는게 좋나요 아님 답지보는게 좋나요?
-
아톰의 Docs지식 거래소에 있는 랑데뷰TacTioc-N축 링크 주소입니다....
-
현역정시국민대 3
일반인 기준 냉정하게 잘간건가?
-
어떤게 더 욕임
-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성균관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성균관대학생,...
형광펜 뭐쓰세요?
샤피 씁니다!
재진술갑!
맞습니다! 저도 조정호쌤이 밑바탕이여요ㅎㅎ 잡종이긴한데ㅋㅋ
좋은 글 감사합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항상 영어 2만 나오는데 이 방법 꼭 의식해서 써먹어 보겠습니다ㅠㅠ 이건 수능 뿐만 아니라 교육청도 해당되는거죠?
교육청 적용을 별로 안 해봤는데요~ 순서의 틀과 다른 도구들 사용하는데 답이 애매하다. 라면 그 문제가 나쁜 겁니다.
이 문제도 저렇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 ㅠㅠ 190637입니다
네 깔끔하게 풀립니다~ 순서의 틀로는 B가 쉽게 잡히네요!
근거들이 꽤 많지만 순서의 틀만 말하자면요. 보기에서 썰풀다가 민주주의가 예시로 나오죠? 그다음은 민주주의에 대한 상부예가 나와야합니다. 민주주의 예시 이제 막 시작했는데 다른 소재가 나오면 안 되겠죠? B임이 자명타! 입니당.
그럼 B 잡고 A C는 독해로 가나요? A C에 딱히 지문을 종결할만한 문장은 없는거같은데요..
아뇨! 음 그니까 순서의 틀만으로도 순서문제 절반 덜되게 풀리구요. 다른 도구들까지 같이 사용하면 이문제 금방 풀립니다~~~ ㅎㅎ 명확한 기준가지구요. 다음에 도구들 더 적겠습니다!
님 근데 그 틀? 통념반박 그런갓들은 무조건 그흐름대로 쓰이나요? 구조나 패턴에 예외는 없나요?
일반적으로 긴 글들은 있겠죠? 근데 수능 때 예외가 나올 생각은 안하셔도 돼요. 수능영어같이 정제된 짧은 지문서 그것도 순서문제서 다른 식으로 못씁니다.
저런 구조들은 뭐라해야하지 이론처럼 만들어진건가요? 짧으면 특히 그럴거고...음... 뭐라해야하지 좋은글이라면 저렇게 써야만 한다는 법(?)마냥 그런 느낌의 원칙이 있는건가요?
40일의 전사 모집글 확인 부탁드립니다~
작성자님 왠지 국어도 잘하실것같네요 ㅎㅎ
가끔 들어와서 글읽는데 인강과는 또다르게 얻어갈게
많습니다.
많이는 아니더라도 수능때까지
좋은글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